Figma의 Branch를 활용한 버전 관리
Figma의 Branch를 활용한 버전 관리
개요
- 피그 마(Figma)는 디자인 툴로서, 버전 관리를 위한 Branch 기능을 제공한다.
- 피그 마를 사용하면서 버전 관리에 대해 고민 중인 중소규모의 조직을 위한 내용이다.
- 이 글에서 다루는 방식은 5명 이상, 20명 이하의 디자이너가 있는 조직에 적절하다.
도입 사례
- 기존에는 스케치와 제플린을 통해 마스터 파일의 형상 관리 및 공유를 진행하였다.
-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는 여러 문제가 있어 새로운 관리 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.
- 결론적으로 피그 마의 Branch 기능을 활용하기로 결정하였다.
Branch 관리법
- A - Master: 도메인별 제품의 최신 화면을 모아놓은 파일
- B - Branch: Master의 임시 복사본
- C - Merge: Branch를 Master에 변경 점만 병합
- D - Update: Merge 전 Master에 변경이 생겼을 때 최신화(다운로드)
작업 과정
- 디자인 파일 생성: 신규 업무 시작 시 스쿼드 작업 공간에 새로운 파일을 생성한다.
- As-is 화면 가져오기: 업무에 사용할 As-is 화면을 마스터 파일에서 가져온다.
- 변경 사항 작업: 변경되거나 새롭게 만들어진 화면을 Branch 파일에 작업한다.
- Branch 생성: 해당 도메인의 마스터 파일에 Branch를 생성한다.
- Branch 파일로 이동: 변경된 화면을 Branch 파일로 옮긴다.
- 리뷰 요청 및 병합: 변경점을 확인하고 리뷰 대상자를 지정한 후 병합한다.
컨벤션
- 공통 컨벤션 준수: 원활한 Merge 히스토리 열람을 위해 공통 Branch 컨벤션을 준수한다.
결론
- 피그 마의 Branch 기능을 활용하면 버전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.